Development (24)


목표 자바의 프리미티브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학습할 것 프리미티브 타입 종류와 값의 범위 그리고 기본 값 프리미티브 타입과 레퍼런스 타입 리터럴 변수 선언 및 초기화하는 방법 변수의 스코프와 라이프타임 타입 변환, 캐스팅 그리고 타입 프로모션 1차 및 2차 배열 선언하기 타입 추론, var 프리미티브 타입과 레퍼런스 타입 기본형(Primitive type)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계산을 위한 실제값을 저장한다. 기본값이 있기 때문에 Null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기본형 타입에 Null값을 넣고 싶다면 래퍼클래스를 활용한다. 실제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스택(stack..


목표 자바 소스 파일(.java)을 JVM으로 실행하는 과정 이해하기. 학습할 것 JVM이란 무엇인가 컴파일 하는 방법 실행하는 방법 바이트코드란 무엇인가 JIT 컴파일러란 무엇이며 어떻게 동작하는지 JVM 구성 요소 JDK와 JRE의 차이 JVM이란 무엇인가 자바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 JVM)은 바이트코드(.class)를 실행할 수 있는 주체 자바 코드를 컴파일 해서 얻은 바이트코드를 해당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꿔 실행시켜주는 역할 자바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JVM에서만 실행되기 때문에 반드시 JVM이 필요하다. 자바 프로그램이 어느 운영체제에서도 실행될 수 있게 프로그램 메모리를 관리하고 최적화해준다. 한번만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JAVA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JAVA의 특징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 자바가상머신(JVM)을 통해 해당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전달해준다. => 한번 작성하면 어디서나 실행된다 (Write Once, Run Anywhere) 객체지향개념의 특징이 잘 적용된 순수한 언어이다. 자동 메모리 관리 (Garbage Collection) :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가비지 컬렉터가 자동적으로 메모리를 관리 해주기 때문에 따로 메모리 관리를 하지 안하도 된다. 네트워크와 분산처리를 지원한다.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를 통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멀티쓰레드를 지원한다. : 자바에서 개발되는..


Queue 큐 FIFO(First In First Out) 먼저 저장된 데이터가 먼저 인출 되는 구조 Stack 스택 LIFO(Last In First Out) 가장 나중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인출되는 구조 Stack 메소드 boolean empty() 해당 스택이 비어 있으면 true를, 비어 있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함. E peek() 해당 스택의 제일 상단에 있는(제일 마지막으로 저장된) 요소를 반환함. E pop() 해당 스택의 제일 상단에 있는(제일 마지막으로 저장된) 요소를 반환하고, 해당 요소를 스택에서 제거함. E push(E item) 해당 스택의 제일 상단에 전달된 요소를 삽입함. int search(Object o) 해당 스택에서 전달된 객체가 존재하는 위치의 인덱스를 반..

배열 -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배열의 생성 타입[]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배열 선언 배열 생성 - int[] score = new int[5]; - int[] score = new int[]{1,2,3,4,5}; - int[] score = {1, 2, 3, 4, 5}; 배열을 선언하는 것은 참조변수를 위한 공간이 만들어질 뿐, 배열을 생성해야만 비로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ex) int [] score; : int형 배열 참조변수 score을 선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은 아직 마련되지 않음. score = new int[5]; : 연산자 new에 의해서 메모리의 빈공간에 5개의 int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

람다식이란? :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 함수를 간략하면서도 명확한 식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어지므로 람다식을 '익명함수' 라고도 한다. 람다식으로 인해 메서드를 변수처럼 다루는 것이 가능해졌다. 람다식의 도입으로 자바는 객체지향언어인 동시에 함수형 언어가 됨. 반환타임 메서드이름 (매개변수 선언) { 반환타임 메서드이름 (매개변수 선언) -> { 문장 => 문장 } } *메서드와 함수의 차이 : 메서드는 함수와 같은 의미지만 특정 클래스에 반드시 속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어 기존 함수와 같은 의미의 다른 용어를 선택해서 사용한 것. 특징 - 반환값이 있는 메서드의 경우, return 문 대신 '식'으로 사용할수 있다. 식의 연산결..